반응형
디자인 리서치 정리 : 모델링
디자인 리서치 결과 정리 요소
여러 다양한 기법을 통해 리서치를 진행했다면 이후에 수반되는 후속 작업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체계적인 분석과 정리를 통해 인사이트를 도출해야 한다. 리서치를 마치면 사용자의 말과 행동에 대한 데이터가 많이 쌓인다. 그중에서 의미 없는 데이터는 버리고 의미 있는 데이터를 선별해야 하는데, 이 과정을 키 파인딩이라고 하며, 보통 이슈별로 진행한다.
키 파인딩 작업 후에는 그것으로부터 시사점을 찾는 모델링 과정이 필요하다. 리서치 결과 정리는 발견의 게임이라고 할 정도로 분석력과 통합력이 필요한 작업이다. 데이터의 수렁에 빠지거나 형식화의 오류에 매몰되지 않도록 경험 있는 전문가와 함께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서치 결과에서 발견해야 할 요소에는 사용자에 대한 정의, 사용자의 니즈, 그리고 사용자의 이용 행태가 있다.
통계적으로 정리하려면 모델링 결과를 정량화해서 표현하고, 정성적 리서치는 그동안 작성한 리포트를 취합해 사용자와 사용자 니즈를 정리하는 데 초점을 맞춰 정리한다.
1. 어피니티 모델링 Affinity Modeling
어피니티 모델링은 디자인 리서치 결과를 의미론적 연관성을 바탕으로 구조화하는 모델링 기법으로, 아이디어와 데이터를 체계화하기 위한 도구다. 어피니티 매핑(Affinity Mapping)으로 부르기도 하는 어피니티 모델링은 데이터의 양이 많아 결과를 곧바로 도출하기 힘든 정성적 리서치의 결과를 종합하는 데 사용하는 방법이다.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Affinity Diagram)을 이용해 중복되는 내용을 하나로 합치고 상관없는 이야기나 범위를 벗어나는 이야기는 제외하는 방식을 선택한다. 즉 데이터를 친화도 (Affinity)가 높은 그룹으로 분류해 규칙을 발견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출하며 그렇게 선별된 이슈의 우선순위를 매기는 방식으로 데이터의 연관성을 분석하고 구조화한다.
- 데이터 작성
리서치 결과를 놓고 친화도를 기록하는 과정이다. 중복 내용은 합치고 범위를 벗어나거나 상관없는 내용은 배제한다. 대개 포스트잇을 사용하며 의미를 잘 알 수 있도록 구체적으로 작성한다.
- 연관 있는 카드 그룹화
포스트잇에 작성한 내용을 벽에 붙여 카테고리별로 그룹화한다. 카테고리를 먼저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의미론적 연관성, 상호의존성, 종속성을 따져 먼저 그룹화를 한다. 이때 구성원들의 의견 조율을 통해 객관성을 유지하면서 함께 만들어가는 과정이 중요하다. 단지 연관 있는 카드를 그룹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발견한 새로운 사실이나 아이디어를 더해 새로운 노트를 추가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발견이나 인사이트를 도출하기도 한다.
* 의미론적 연관성 : 유사한 의미가 있는 것
* 상호의존성 : 연관성은 적지만 상호의존적인 관계가 있는 것
* 종속성 : 어느 하나가 다른 데이터를 포괄하는 것
- 그룹을 대표하는 제목 작성
분류한 그룹을 대표할 수 있는 제목 (Header)을 도출한다. 제목은 사실에 기반해 구체적으로, 하위 카드의 내용을 포괄할 수 있도록 작성한다.
- 그룹화한 상위 카드를 다시 그룹화
도출한 제목을 중심으로 다시 그룹화한다. 유사한 제목들을 묶어 패턴을 찾고 규칙을 발견해 모델링을 완성한다. 이를 통해 현상을 이해하고 문제점을 발견하며 개선 사항을 고안할 수 있다.
2. 페르소나 Persona
페르소나는 고대 그리스 연극에서 배우들이 쓰던 가면을 뜻하는 라틴어에서 유래된 말로, 사용자 모델링에서는 유사한 목표와 사용 패턴을 지닌 사용자 데이터를 모델링해 만들어낸 전형적인 사용자 유형을 의미한다. 사용자를 특정 기준에 따라 분류한 후 각각의 유형을 가공의 캐릭터로 표현하는 기법이다. 가상의 인물이지만 사용자에게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구성한 캐릭터이므로 사용자의 상황, 니즈, 목표, 동기 등을 자세히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어 서비스의 방향성을 제공한다. 사용자 이야기나 시나리오로 발전시킬 수 있고 적절한 디자인인지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하기도 하며 서비스나 제품 개발에 참여하는 구성원의 의사소통에도 도움이 된다. 대상 사용자를 모델링한다고 할 수 있지만, 마케팅에서 말하는 대상 고객과는 다른 개념이다. 마케팅에서의 사용자 세분화 (User Segment)는 구매에 초점을 두고 있지만, 사용자 모델링에서의 페르소나는 행동이나 제품의 사용 목적 등 사용자 경험에 초점을 맞춘다.
- 페르소나 장점
예측하기 힘든 수많은 사용자에 대한 동기, 욕구, 패턴을 구체적으로 요약해 제시한다. 다양한 프로젝트 구성원이 의사결정을 할 때 기준으로 적용하고, 주관적 예측을 줄인다. 사용자의 기술적 수준에 대한 시각차를 좁히고, 특정한 사람을 위해 디자인한다는 느낌이 들 수 있다. 여러 부서를 통틀어 사용자에 대한 관점을 계속 일치시킬 수 있다.
- 페르소나 내용
사용자 정보 및 간단한 프로필, 사용자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인구 통계학적 정보, 제품 이용 환경, 사용자 기대, 공급자 기대
3. 멘탈 모델 (Mental Model)
UX에서 리서치 결과를 토대로 모델링을 한다는 것은 사용자의 저변에 깔린 마음속 모형을 드러내 보인다는 말과 일맥상통한다. 멘탈 모델은 사용자가 마음속에 가지고 있는 대상에 대한 모형으로, 사용자 관점에서 제품이나 미디어를 파악해 사용자가 제품을 이해하는 방식을 조사하는 방법이다. 멘탈 모델은 사람들의 행동 동기, 사고 과정뿐만 아니라 그들이 행동하는 감성적, 철학적 배경에 대해 잘 이해할 수 있게 해 준다. 멘탈 모델을 만든다는 것을 사람들의 행동에 관해 이야기하고, 패턴을 찾고, 그 패턴을 모두 포괄하는 하나의 모델을 정리하는 일이다.
2023.04.08 - [UXUI 디자인] - 정보 구조 설계 플로차트 와이어프레임
정보 구조 설계 플로차트 와이어프레임
정보 구조 설계 1. 정보 구조와 정보 구조 설계 정보 구조 (Information Architecture, IA)는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불편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뼈대라고 할 수 있다. 앱에서는 화면 내에 내비게이
itmini.tistory.com
2023.04.06 - [UXUI 디자인] - UX 디자인 리서치
UX 디자인 리서치
디자인 리서치의 구분 : 정성적 리서치와 정량적 리서치 디자인 리서치는 크게 정성적 리서치와 정량적 리서치로 구분된다. 정성적 리서치 (Qualitative Research)는 사용자가 원하는 바를 통찰해 결
itmini.tistory.com
반응형
'UXUI 디자인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토타이핑 (0) | 2023.04.08 |
---|---|
정보 구조 설계 플로차트 와이어프레임 (0) | 2023.04.08 |
UX 디자인 리서치 (0) | 2023.04.06 |
UX 디자인 프로세스와 개발 방법 (0) | 2023.04.06 |
UI/UX 디자인의 최신 추세 (0) | 2023.04.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