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모바일 앱의 종류
모바일 앱은 모바일 기기에 사용되는 응용 프로그램으로, 스마트폰 앱 그뿐만 아니라 태블릿, 스마트워치, 웨어러블 기기용 앱이 포함된다. 대부분의 모바일 앱은 iOS용과 안드로이드용으로 구분되며, 각 OS에 따라 구글 플레이 스토어 또는 애플 앱 스토어에서 사용자가 직접 내려받아 설치한다. 하지만 설치 없이 사용하는 앱도 있으며, 최근에는 앱보다는 방대한 양의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반응형 웹으로 앱을 대신하기도 한다. 모바일 앱의 종류는 대표적으로 네이티브 앱과 하이브리드 앱으로 구분되지만, 최근에는 프로그레시브 웹 앱과 모바일 웹도 앱의 종류에 포함된다.
1. 네이티브 앱 Native APP
네이티브 앱은 모바일 운영체제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개발 언어를 사용해 각각의 고유 모바일 운영체제에서만 동작하는 앱을 말한다. C#으로 개발한 안드로이드 앱과 스위프트 또는 오브젝티브 C로 개발한 아이폰 앱이 이에 해당한다. 네이티브 앱은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구동 속도가 빠르고 안정적이다. 또한 카메라, 마이크, 나침반, 가속도계 및 스와이프 제스처를 매우 쉽게 활용할 수 있고 푸시 알림을 통해 사용자에게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뿐만 아니라 UI/UX를 플랫폼 규칙에 일치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OS별로 플랫폼에 맞게 제작해야 하므로 시간과 비용이 추가되며, 업데이트나 수정이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최근에는 마이크로소프트에서 만든 자마린이나 페이스북의 공개 소스 프로젝트인 리액트 네이티브를 사용해 여러 플랫폼에서 작동하는 앱을 제작하는 시도를 하고 있다.
2. 하이브리드 앱 Hybrid APP
하이브리드 앱은 모바일 웹과 네이티브 앱의 장점을 합친 앱으로, 다수의 플랫폼에 적용할 수 있다. 필수적인 요소만으로 개발할 수 있고 동적 데이터는 실시간 통신으로 가능하며, 네이티브 앱에 비해 개발 비용이 적고 수정 보완을 빠르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 제한적이긴 하지만 푸시 알림 기능이나 네이티브 앱의 기능을 대부분 탑재할 수 있으며, 네이티브 앱과 같이 앱 스토어에서 내려받아 설치한다. 그런데 한 번의 개발로 다수의 플랫폼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은 단점이 되기도 한다. iOS이나 안드로이드 사용자는 자신의 플랫폼에 충성하는 경향이 있고 오랫동안 사용한 경험이 축적되어 기본 앱에서의 작동 방법에 익숙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다수의 플랫폼에 적용할 수 있어도 각 플랫폼을 기반으로 앱을 맞춤 설정하면 네이티브 앱과 비슷한 비용이 소요될 수 있다.
3. 프로그레시브 웹 앱 Progressive WEB APP
프로그레시브 웹 앱은 모바일 웹과 네이티브 앱의 장점을 취했다는 면에서는 하이브리드 앱과 유사하지만, 내려받아 설치해야 하는 하이브리드 앱과 달리 브라우저에서 바로 사용할 수 있다. 기존의 웹 앱은 인터넷에 연결된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어서 모바일 앱만큼 사용자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지 못했다. 이러한 웹 앱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구글 개발자가 주축이 되어 2015년 프로그레시브 웹 앱을 만들었다. 프로그레시브 웹 앱은 한번 접속하면 해당 앱의 기본 소스가 브라우저의 캐시에 다운로드 되기 때문에 인터넷에 연결하지 않아도 웹 브라우저에서 사용할 수 있다. 네이티브 앱처럼 설치가 번거롭지 않고 모바일 웹에서의 앱 기능 제약 등을 보완한다는 이유로 최근 활용 빈도가 점차 늘고 있다.
4. 모바일 웹 Mobile WEB
모바일 웹은 모바일 브라우저에서 구동되며 개발 기간이 짧고 업데이트나 수정 변경이 쉽다는 장점이 있으며, 웹 브라우징을 통한 접근성이 있고 설치 과정이 따로 필요하지 않다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GPS나 센서 기능과 같은 스마트폰의 특정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는 단점도 있다. 또 웹을 기반으로 한 디자인을 사용하기 때문에 모바일에서의 사용성이나 호환성은 떨어진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에는 기기의 종류와 화면 크기에 실시간 반응하여 웹 페이지를 최적화된 화면 구성으로 보여주는 반응형 웹이 사용되고 있다.
모바일 앱의 서비스와 기술 동향
모바일 환경에서는 하드웨어적인 기술과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서비스 시장이 새롭게 등장하거나 재편되는 경향이 있다. 모바일 앱 이용자 수와 이용 시간을 분석한 데이터에 따르면 앱 시장은 2015년까지는 가속 성장기였고, 최근에는 이용자 규모와 성장이 정체된 성숙기로 분류된다. 도입기와 성장기에는 기본적인 유틸리티 위주의 기능 서비스 중심으로 발달했고, 성숙기 시장에 접어들면서 더욱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가 커졌다. 보안, 결제 솔루션이 발달하면서 M-커머스는 물론 금융 서비스 영역이 크게 성장하고 있으며, 스캐닝, 증강현실, 가상현실 등 신기술이 결합한 서비스, 이용자 맞춤 서비스 등 차별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려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2015년까지 모바일 서비스 시장은 크게 위치기반 서비스, M-커머스,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나눌 수 있었지만, 최근의 모바일 환경에서는 5G 서비스의 사용화로 인해 다양한 서비스가 발달할 것으로 기대된다.
1. 위치기반 서비스 Location-Based Service 이하 LBS는 무선 인터넷 사용자에게 위치에 따른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무선 콘텐츠 서비스를 말한다. 플랫폼으로서의 LBS는 사물이나 사람, 콘텐츠의 위치 정보를 얻어내 기본적인 지도 서비스, 위치기반 검색, SNS와 친구 찾기, 사진이나 동영상을 공유하는 PCD (Personal Contents Distribution), 여행 정보, 근처 레스토랑이나 영화관 등의 위치 정보, 관공서 위치 정보, 대중교통 정보, 사용자가 있는 지역 날씨나 지역 뉴스 등의 모바일 서비스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2. M-커머스 M-Commerce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 등을 이용한 은행 업무, 지급 업무, 티켓 업무와 같은 서비스를 하는 비즈니스 모델로, 무선 데이터 장비를 이용해 정보, 서비스, 상품 등을 교환하는 것이다. 구매 및 판매를 목적으로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은 E-커머스와 같지만, 모바일이라는 특성 면에서는 매우 다르다. 안전한 지급 업무는 M-커머스의 핵심 중의 하나로, 즉시성, 편의성, 개인성, 위치 인지성 등의 특징이 있다.
2023.04.06 - [UXUI 디자인] - UI/UX 디자인의 최신 추세
UI/UX 디자인의 최신 추세
UI/UX 디자인의 최신 추세 디자인 추세 1. 맞춤형 일러스트레이션과 스토리텔링 맞춤형 일러스트레이션은 웹 사이트와 모바일 앱의 이야기를 보여주거나 플랫폼의 분위기를 설정해 시각적 스토
itmini.tistory.com
2023.04.03 - [UXUI 디자인] - UX의 이해
UX의 이해
UX의 개념 사용자 경험(User eXperience)은 사용자와 컴퓨터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데 사용된 개념으로,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개발에서 비롯된 다양한 원리를 기반으로 한다. 현재 이 개념은 컴퓨
itmini.tistory.com
반응형
'UXUI 디자인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UX 디자인 프로세스와 개발 방법 (0) | 2023.04.06 |
---|---|
UI/UX 디자인의 최신 추세 (0) | 2023.04.06 |
UX의 이해 (0) | 2023.04.03 |
휴리스틱 평가 (0) | 2023.04.03 |
UXUI 디자인개요 (0) | 2023.04.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