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X디자인리서치2 디자인 리서치 정리 : 모델링 디자인 리서치 정리 : 모델링 디자인 리서치 결과 정리 요소 여러 다양한 기법을 통해 리서치를 진행했다면 이후에 수반되는 후속 작업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체계적인 분석과 정리를 통해 인사이트를 도출해야 한다. 리서치를 마치면 사용자의 말과 행동에 대한 데이터가 많이 쌓인다. 그중에서 의미 없는 데이터는 버리고 의미 있는 데이터를 선별해야 하는데, 이 과정을 키 파인딩이라고 하며, 보통 이슈별로 진행한다. 키 파인딩 작업 후에는 그것으로부터 시사점을 찾는 모델링 과정이 필요하다. 리서치 결과 정리는 발견의 게임이라고 할 정도로 분석력과 통합력이 필요한 작업이다. 데이터의 수렁에 빠지거나 형식화의 오류에 매몰되지 않도록 경험 있는 전문가와 함께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서치 결과에서 발견해야 할 요소에.. 2023. 4. 7. UX 디자인 리서치 디자인 리서치의 구분 : 정성적 리서치와 정량적 리서치 디자인 리서치는 크게 정성적 리서치와 정량적 리서치로 구분된다. 정성적 리서치 (Qualitative Research)는 사용자가 원하는 바를 통찰해 결과를 얻는 방법으로, 가설에 대한 검증 또는 증명의 도구로 사용하며, 사용자 설문이나 웹 로그 분석 등을 이용한다. 정량적 리서치 (Quantitative Research)는 전반적인 상황이나 수치 데이터를 이용해 이해관계자를 설득하는 방법으로, 사용자를 한 개인으로 이해하며 내용에 대한 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한다. 정성적 리서치 *기초적인 원인과 동기에 대한 질적인 이해 *내용에 대한 분석 *대표성 있는 소규모 *비구조화, 유동적 *비 통계적 *FGI, 심층 면접, 관찰 면접 *초기 이해의 전개,.. 2023. 4. 6. 이전 1 다음